산자부, ESS 가동 중지하고 해법 마련하라
산자부, ESS 가동 중지하고 해법 마련하라
  • 한국에너지
  • 승인 2019.01.21 10:2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에너지신문] 에너지저장장치(ESS)의 사고가 잇따르고 있다. 지난해 화재 사고가 빈발하자 산자부가 사고원인 조사와 더불어 가동 중인 ESS의 전수조사를 한다고 부산을 떨었지만 올 1월 한 달도 채 되지 않았는데 벌써 3건의 화재 사고가 났다.

화재가 난 ESS는 완전 연소하기 때문에 사고 원인을 찾을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산자부가 전문가팀을 꾸려 사고 원인을 규명한다고 해보았지만 실상 아무런 단서도 찾지 못하고 헤매고 있다는 말이 정확한 표현이라 하겠다. 이러한 가운데 ESS를 설치한 사업자만 큰 손실을 보고 있다.

ESS는 휴대폰에 사용되는 리튬이온 배터리 기술에서 발전한 것으로 삼성과 LG가 한때 이 분야에서 세계 시장을 석권한 적이 있다. 상당한 투자비를 들여 개발한 기술을 전기차에 접목하려 했으나 세계 전기차 시장이 여의치 않자 ESS의 시장 진출을 시도했다.

산자부는 세계 시장을 석권할 수 있다는 대기업의 말에 솔깃해 리튬이온 배터리에 가중치를 높게 부여하고 시장 활성화에 나섰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새로운 제품에 대한 검증 절차는 많이 생략되었고 양대 거대 기업이 하는 일이라 문제를 지적하는 목소리는 묵살되어 버렸다. 관계 인사들의 말에 의하면 안전이라는 말조차 꺼낼 수 없었다는 것이다.

이처럼 생산 기업들이 거쳐야 할 절차를 생략한 채 시장 확대에만 나선 것은 배터리 양산을 위해 투입된 거액의 투자비 회수에 급급한 기업과 배터리를 수출 산업으로 육성하겠다는 정부의 이해관계가 맞아 떨어져 만들어 낸 합작품이다.

배터리는 리튬이온 배터리, 레독스플로전지,  납축전지 등이 있는데 각 시스템마다 장단점이 있다. 리튬전지는 안전성이 낮은 반면 효율이 높고 레독스, 납축전지는 안전성이 높은데 비해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배터리는 많은 양의 에너지를 저장하기 때문에 제어 시스템이 완벽해야 하고 운영에 철저를 기하지 않으면 사고가 날 수 있는 설비다. 따라서 운영 관리자도 철저히 신경 쓰지 않으면 안 된다.

산자부가 지난해 20건 정도의 사고가 있었다고 했지만 실제 사고는 60~70건에 이른다는 것이 업계의 시각이다. 이처럼 많은 사고가 났어도 현재까지 사고 원인을 명백하게 찾아 분석한 것은 한 건도 없다.

전문가를 동원하고 기업 자체 조사팀을 가동했지만 아직까지 발표한 내용은 없다. ESS는 지난 2~3년 동안 양대 기업이 공급 물량을 제대로 댈 수 없을 정도로 해마다 GW급 규모로 보급되었다.

사고가 연이어 터지자 일부 공급자는 운영을 중단하고는 있지만 많은 설치 사업자는 불안 속에서 어쩔 수 없이 운영하고 있기 때문에 산자부는 ESS의 안전 문제를 긴급히 해결해야 한다. 

우선 산자부는 제품의 결함을 밝힐 때까지 모든 ESS의 가동을 중지하는 것이 옳은 일이다. 어쩌다 사고가 나는 것이 아니고 자고나면  사고가 난다는 것은 분명 제품에 문제가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사고의 원인을 규명하고 제품의 안전을 확인하기 위해서 예산을 확보하여 전문 연구 기관에 맡겨야 한다. 

정부가 앞장서고 대기업이 판매하는 제품에 대해 아무나 문제점을 지적할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폭발했을 때 데이터가 완전히 소멸하고 마는데 아무나 사고 원인을 함부로 입 밖에 낼 수도 없다.

ESS는 불규칙적인 재생에너지 생산 공급을 제어하는 장치로 관련 산업을 발전시키는데 매우 유용한 수단이다. 제품의 안전만 확보된다면 시장은 열려 있다 할 것이다. 

끝으로 ESS 사고로 사업자나 보험사가 많은 손실과 피해를 보고 있다. 정부나 제조사에 책임을 묻지 못한다는 법은 없다. 더구나 사고가 지속되면 보험 가입도 어려워질 것이다. 산자부는 근본적인 문제 해결에 나서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