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칼럼]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 발표에 부쳐
[전문가 칼럼]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 발표에 부쳐
  • 박진남 경일대 신재생에너지학부 교수
  • 승인 2019.02.18 10: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박진남 교수
박진남 교수

[한국에너지신문] 지난 1월 17일 울산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직접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발표한 바 있으며, 그 자리에 직접 참석했던 필자는 수소경제의 실현을 위한 정부의 의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발표 내용 중 주목할 만한 것은 수소전기차 보급 대수의 증가다. 수소전기차는 2022년까지 국내보급 목표치가 1만 5000대에서 6만 7000대로 4배 이상 늘었으며, 수소버스는 2022년까지 1000대에서 2000대로 확대됐다. 수출은 2022년까지 승용차 1만 4000대, 2040년까지는 330만 대 이상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는 수소전기차 시장을 빠른 시일 내에 안정화하는 동시에 수소전기차 양산화를 조기에 달성해 국제 시장을 선점하겠다는 의지로 해석할 수 있다. 현재는 현대자동차와 도요타가 글로벌 수소전기차 시장에서 경쟁하고 있으며, 그 외의 업체들은 아직 후발 주자이므로 양산화를 통해 규모의 경제에 먼저 도달하는 것이 중요한 이슈이다.

수소경제의 활성화를 위한 선결 조건은 수소 사용량의 확대를 통한 수소 가격의 저감이며, 이를 위해서는 수소전기차의 보급 확대 및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수소충전 인프라의 구축이 필요하다. 수소 공급과 관련해서는 수소충전 가격 목표를 제시하였는데, 2022년까지 수소 1㎏당 6000원의 가격을 제시하고 있다.

국내외의 현재 수소 판매가격 및 기술 수준을 고려할 때 이는 수소충전소에 공급되는 수소의 가격목표인 것으로 생각되며, 판매마진을 감안하더라도 수소 1㎏당 1만원 이하의 가격으로 소비자에게 판매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수소경제 활성화를 통한 신산업 육성을 강조하고 있는데, 이는 수소전기차와 연료전지 그리고 수소 생산·저장·이송 관련 산업들이 해당된다. 수소에너지 사용의 확대를 통한 탄소배출량 저감 또한 중요한 요소인데,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수소경제와 관련된 산업들의 탄소배출량 저감에 대한 기여도를 명확하게 평가하고 선별적으로 육성해야 한다. 

요즘 많은 지자체가 수소산업 육성을 내세우고 있으며, 많은 기관에서도 수소경제와 관련된 아이템을 제시하고 있다.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이 발표되자마자 발 빠르게 수소경제와 관련된 테마주가 주목받기도 했는데, 지금은 수소경제 활성화에 편승하여 이익을 도모하기보다는 수소경제가 제대로 꽃필 수 있게 관심을 갖고 육성을 하여야 할 시점이다. 이제 겨우 씨앗에 싹이 터서 앞으로 잘 가꾸어야 할 시점인데, 벌써 수확을 생각한다면 욕심이 지나치다.

이번에 발표된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은 정부의 의지를 천명한 것으로 보인다.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에서는 수소 생산, 저장 및 이송, 활용 분야에서 많은 목표 수치를 제시하고 있는데, 이들 목표치에 얽매이기보다는 기술의 발전 상황 및 시장의 성장 정도에 따라 앞으로 계속 수정 보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이에 수반되는 재정 부담 또한 신중하게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