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은 지구촌의 대세” 누구도 거스를 수 없다
“탄소중립은 지구촌의 대세” 누구도 거스를 수 없다
  • 한국에너지
  • 승인 2020.12.17 15:5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미국의 파리협정 복귀로 탄력 받아
2050 탄소중립은 새로운 경제질서 만들어
민간기업 RE 100은 재생에너지 강제

[한국에너지] 지난해 1028일 문재인 대통령이 국회에서 탄소중립을 선언하기까지 탄소중립 선언을 할 것인가 말 것인가를 두고 각 부처의 의견을 조율 했다.

탄소중립 선언이 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만만치 않고 과연 우리가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실현 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가가 문제였다.

중화학공업 에너지 다소비 산업의 비중이 높은 우리 산업구조에서 탄소중립은 매우 어려운 과제다. 하지만 국제적인 탄소중립의 흐름을 더 이상 강 건너 불처럼 보고만 있을 수 없다는 것이 전반적으로 주도적인 견해였다.

우리도 지구촌의 탄소중립 대열에 뛰어들지 않으면 안 될 국제적인 분위기가 강하게 작용하였던 것이다.

2016년 파리협정이 발효된 이후 20199월 기후정상회의를 거처 121개 국가가 기후목표 상향동맹에 가입하여 2050 탄소중립을 글로벌 의제로 채택한 것을 시작으로 201912월 유럽연합이 제일 먼저 2050 탄소중립을 선언 하였다. 잇따라 중국과 일본 등 주요국들이 탄소중립을 선언하였고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단선자도 공약으로 탄소중립을 채택하고 있었다. 지금까지 미국이 파리협정을 비토하면서 기후변화 대응이 주춤하였지만 미국의 동참으로 기후변화는 거스를 수 없는 글로벌 이슈가 될 것이라는 우리 정부의 판단이었다.

기후변화 대응 체제로 글로벌 경제가 새로운 경제 질서를 만들어 낼 것이라는 예측은 충분히 가능하다.

유럽연합과 미국이 탄소 국경세를 논의 하고 있다는 점이다.

여기에 자동차 배출가스 규제 강화, 플라스틱세 도입도 검토 중이다.

탄소 국경세는 온실가스를 배출을 줄이지 않는 국가가 온실가스를 적게 배출하는 국가에 상품을 수출할 때 부과하는 관세다. 그리고 국제통화기금과 같은 국제기구가 탄소세 인상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추세다.

온실가스를 줄이지 않는 국가에 대한 글로벌 규제는 갈수록 강도가 높아져 새로운 경제 질서가 될 전망이다.

기후변화 대응을 주도하고 있는 것은 국가나 정부 기관 국제기구 보다 민간 기업이 오히려 앞장서고 있다.

RE 100에 가입한 기업이 2020년 말 기준 260개가 넘는다. 글로벌 수준의 기업들은 웬만큼 다 가입하고 있다. 이들 기업은 글로벌 활동에 사용하는 모든 에너지를 재생에너지로 이용할 것을 강력히 권고하는 수준을 넘어 강제하고 있다. 부품을 생산하는데도 재생에너지를 사용하지 않으면 납품을 받지 않을 정도다.

탄소중립을 위한 글로벌 규제가 새로운 경제 질서로 자리를 잡아가는 한편 이와 함께 친환경 에너지 즉 재생에너지 산업의 꾸준한 성장이 주목을 받고 있다.

국제에너지기구가 밝힌 자료에 따르면 석탄 발전량은 20202.131GW에서 20252079GW로 줄어드는 대신 풍력과 태양광은 같은 기간에 1.398GW에서 2.349GW로 크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그리고 에너지 저장장치 전기자동차에 사용하는 리튬이온전지 세계시장 수요는 2019198GW에서 20303.392GW로 폭발적인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탄소중립 이행을 위한 세계 각국의 투자는 놀랍다. 유럽연합은 향후 10년간 1조 유로를 투자하기로 했으며 미국은 대선공약에서 17천억 달러를 향후 10년 동안 투자하겠다는 계획이다.

지구촌을 이끌어 가는 미국과 동사양의 양대축인 유럽연합과 중국 일본을 비롯한 아시아권이 2050 탄소중립을 강력히 견인하고 있다. 세계 어느 나라도 이러한 조류를 거스를 수 없는 것이 대세가 되어버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