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후보(안병옥 환경에너지포럼 대표)
‘2030 재생에너지 혁명’ 추진
안철수 후보(안병옥 환경에너지포럼 대표)
‘2030 재생에너지 혁명’ 추진
  • 서민규 기자
  • 승인 2012.10.29 13: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발전비중 30%
에너지자립 강화·에너지 정부조직 개편

▲ 안병옥 환경에너지포럼 대표
지난 26일 정동 프란치스꼬회관에서는 대선주자들의 캠프에서 에너지·환경정책을 총괄하고 있는 인사들을 초청해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환경·에너지 정책 토론회’가 열렸다.

이 자리는 차기 정권의 에너지·환경정책이 어떤 방향으로 갈 것인지에 대해 미리 알아보고 개선방안에 대해 토론하는 의미 있는 자리였다.

특히 기후변화와 녹색성장이라는 커다란 흐름 속에서 에너지정책이 갖는 중요성을 생각했을 때 미래 한국을 이끌겠다고 나선 대선 후보들의 에너지·환경 정책을 들을 수 있는 뜻 깊은 자리였다.

각 캠프에서 환경·에너지 정책을 주도하고 있는 인사들의 발표내용을 정리했다.

안철수 후보 측은 ‘햇빛과 바람의 나라, 건강한 대한민국’을 환경·에너지 분야 정책목표와 과제로 채택했다.
이를 위한 3대 정책 목표로 ▲깨끗하고 안전한 에너지의 지혜로운 활용 ▲생태계를 잘 보전하고 훼손된 국토의 복원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보호해 삶의 질 향상을 제안했다.

또 ‘2030 재생에너지 혁명’을 통한 에너지 자립 강화, 원자력과 화석에너지의 비중의 점진적 축소, 에너지정책의 수요관리로의 전환, 취약계층의 환경·에너지복지 실현, 환경·에너지 관련 정부조직의 개편과 기능 강화 등 10대 전략과제를 추진할 계획이다.

이같은 정책목표에서 관심을 끄는 것은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30%까지 확대한다는 ‘2030년 재생에너지 혁명’이다. 2017년까지 재생에너지 발전비중을 6%까지 끌어올려 일자리를 5만명 수준으로 확대하게 되는데 제도 시행에 필요한 추가 재원을 확대해 재생에너지의무할당제(RPS)와 발전차액지원제도(FIT)를 병행해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또 도서지역을 대상으로 ‘그린 아일랜드 사업’을 추진하고, 특히 일정 규모 이상의 산업 및 상업시설에 대해서도 자가발전 또는 재생에너지사용 의무화방안을 검토키로 했다.

원자력과 화석에너지 문제와 관련해서는 신규 원전 및 석탄화력발전소 건설을 중단하고 천연가스 발전과 재생에너지의 결합에 기초한 저탄소 분산형 전원계획으로 전환하게 된다.

고리1호기, 월성1호기 등 설계수명을 다한 원전과 화력발전소는 가동 중단을 원칙으로 하되 노후 화력발전소 1~2기는 전력 비상사태에 대비한 예비전력인 콜드 리저브 형태로 관리한다는 계획이다.

설계 수명이 남아도 유럽 수준의 강력한 안전도 검사를 통해 심각한 결함이 발견되는 원전 및 효율이 낮은 화력발전소는 가동 중단을 검토하게 된다.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와 관련해서는 배출전망치(BAU)에 기초한 감축목표를 절대량 기준으로 전환하고 유상할당 비율 조정, 민감업종 100% 무상할당 방침도 재검토할 계획이다.

에너지절약을 수요관리 중심으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에너지 세제·보조금을 개편하고 전기요금체계를 개선키로 했다.

산업용 전기요금을 현실화하고 시간, 공간, 수요자별 특징을 감안한 전기요금체계 개선과 에너지원별 상대가격 조정을 검토한다는 것이다.

또 교통시설 투자 중심의 ‘교통·에너지·환경세’세출구조 전환과 이산화탄소 배출기준과 교통혼잡비용 등을 고려한 수송용 세제 개편 역시 추진한다.

에너지효율기준을 강화하고 적용대상도 확대할 계획인데 에너지효율 R&D 및 설비투자 지원을 대폭 확대하고 에너지과소비 산업 및 제품에 대한 지원은 축소해 정책을 달성하게 된다.

태양광, 풍력, 태양열, 소수력을 중심으로 북한의 개발 잠재력 파악을 위한 공동조사 및 소규모 재생에너지사업 지원 검토와 북한 경수로 문제에 대한 대안으로 러시아 PNG망 건설시 이를 활용한 천연가스발전소 건설을 고려하겠다는 점도 안철수 후보 측의 관심가는 계획이다.

안철수 후보 측은 또 환경·에너지복지의 법·제도적 기반을 마련해 ‘환경복지’ 개념을 명문화하고 환경·에너지 복지지표 개발 및 적용을 통해 취약계층 지원 프로그램도 강화할 계획이다.

특히 공급·이용과 수요관리·감독규제 업무를 분리하고 부처별로 분산돼 있는 업무의 통합, 조정의 관점에서 환경·에너지 정부조직의 개편과 기능 강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