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불가능의 시작
지속불가능의 시작
  • 김은영 워싱턴 주재기자
  • 승인 2014.09.02 09: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김은영 워싱턴 주재기자

[한국에너지신문] 신의 은혜의 형상화이다. 식물과 동물이 산소와 탄소를 주고 받으며 서로 의존하고, 성장하고 소멸하고 새로운 탄생으로 이어지는 순환으로 지속가능성을 이룬다. 나눔과 정화를 본질로 하는 숲은 신의 신성한 창조의 현장이다. 이스터섬 문명의 멸망은 지속가능성을 숲에서 찾지 않고 모아이에서 찾았기 때문이다. 숲 파괴의 결과는 부족한 음식과 물 그리고 전쟁, 남을 죽이고 나도 죽는 종말을 가져왔다. ‘하늘을 바라보는 눈’ 돌 석상 모아이는 아직도 그 바닷가에서 하늘을 바라보고 있지만 신도 우매한 인간을 도울 능력이 없었다.

나만 그렇게 느끼는 것일까? 최근 뉴스는 잔혹함의 극치이다. 그 어느 때도 이렇게 참혹한 사건들이 동시 다발로 일어났던 기억이 없다.

몇 개만 꼽아도 가자지역으로 무차별하게 떨어지는 이스라엘의 폭탄, 나이지리아의 갱조직은 학교에서 공부하는 200여명의 여학생을 납치한 지 100일이 지났지만 군대는 그 갱조직을 이길 힘이 없어 손을 놓고 있다. 이라크의 알카에다 보다도 더 잔인한 ISIS(이라크 시리아 이슬람국가)는 미국의 가장 큰 위협이 됐다. 푸틴의 국수주의적 아집은 크림반도 공격 후 우크라이나를 위협하면서 그 지역의 민간 항공기까지도 떨어 뜨렸다.

미국 퍼거슨 시에서는 비무장 흑인 청소년을 백인 경찰이 사살하면서 일어난 시민봉기를 진압하기 위한 병력이 전쟁터를 방불케 한다. 한국의 상황도 다르지 않다. 세월호의 참담한 비극은 생명을 담보로 한 정부의 조직적 부패가 드러나 국가적인 부패 척결의 기회가 되나 싶더니 그 모든 것이 유병언에게 초점이 맞춰졌고 결국 그가 시체로 발견되면서 의혹투성이 수사는 얼버무려졌다. 탈북자에게 듣는 이북 체제는 더 말할 나위도 없다.

1858년에 발표된 ‘종의기원’은 ‘지구의 모든 생명체는 한 가족이다’는 이론이다. 생명은 단세포로 시작돼 원소와 유전인자를 나눠 가지면서 진화해 왔기 때문이다. 이는 수 년전에 실시된 게놈 프로젝트로도 확실하게 증명됐다. 인간은 다른 인간과 99.6%, 침팬지와는 98%, 민들레와 18%, 심지어 박테리아와도 7%의 유전자를 공유한다.

영국의 오존층 발견에 공헌했던 제임스 러브락 박사는 지구가 유기체라는 가이아 가설을 주장해 왔다. 주장의 근거는 지구의 온도 조절 능력이다. 지구의 온도는 늘 10∼15℃ 사이인데 이 사실이 놀라운 것은 지구 역사 35억년 동안 태양열의 발산이 30% 증가했고 또한 6005만년 전 공룡을 소멸시켰던 우주에서 온 소행성의 충격으로 화산 폭팔같은 엄청난 내부 변화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그 온도가 일정했다는 것이다. 인체의 정상온도는 36∼38℃이다. 지구도 동물처럼 10∼15도의 정상 체온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기후과학자들은 대기권 이산화탄소가 450ppm이 지구가 견딜 수 있는 상한선이라고 한다.

이미 올해 4월에 400ppm을 넘었고 매일 우리는 450ppm을 향해 달려가고 있다. NOAA(미 국립해양대기청)의 발표는 지난달 세계기온이 평균기온보다 화씨 1.15도 높아서 역사상 세 번째의 고온을 기록했고 5월과 6월은 기록적인 최고 기온의 해다. 특히 5월은 39번 연속으로 평균 온도보다 높았다고 한다. 인체가 정상체온을 넘어서면 위험하다. 지구의 기온 상승은 지구 환경 전체에 영향을 미친다. 극심한 기후로 물과 음식이 부족하고 삶의 터가 사라지고 전쟁이 빈번해지고 전염병이 확산된다. 라이베리아에 창궐하는 에볼라가 기후변화에 기인한다고 한다. 이 주장은 2006년 영국의 로얄소사이어티에서 나왔다. 2008년WCS(Wildlife Conservation Society)에서는 숲이 사라지고, 기후변화로 인한 극심한 기후재해 때문에 박쥐같이 바이러스를 가진 야생동물이 서식지를 잃고 인간과 접촉하게 된 것을 원인으로 본다. 

아인슈타인은 생명의 상호의존성을 강조했다. “인간은 우주라는 전체의 한 부분으로 시간과 공간에 제한받고 있다. 인간 각자는 자신의 생각과 느낌이 세상의 다른 것들과는 전혀 다름을 경험한다. 그러나 이는 허상이다. 이 허상이 우리를 감옥에 가두고 바람과 열망을 오로지 우리 주변 사람들에게만 향하도록 하게 만든다. 우리가 반드시 해야할 것은 세상의 모든 생명을 감싸안고 우주의 아름다움을 마음 깊이 느낄 수 있도록 자신을 확장하고 자유케 하는 것이다.”

그가 의미하는 상호의존성이 바로 지속가능성이라는 것을 이스터섬이 말해주고 있다. 전체 속에서 우리만을 갈라놓을 때 구원파처럼 종교가 악으로 변하는 시점이 된다. 그리고 그것이 지속불가능의 시작인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