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부, 온실가스 감축 ‘기후산업육성모델’ 추진
미래부, 온실가스 감축 ‘기후산업육성모델’ 추진
  • 유광균 기자
  • 승인 2016.10.25 09:5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부 모든 부처의 기후기술과 연계해 산업화 추진하는 ‘기후산업육성모델’ 추진

[한국에너지신문]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는 기존 개발된 모든 부처의 기후기술 성과를 연계해 산업화까지 추진하는 ‘기후산업육성모델’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정부는 10대 핵심기술 개발에 715개 과제, 연간 4833억원을 투자하고 있다. 미래부는 지난 4월 ‘탄소자원화 발전전략’ 수립, 6월 ‘기후변화대응기술 확보 로드맵(CTR)’마련, 10월 ‘기후변화대응 핵심기술개발 Best of Best 10’을 선정하는 등 과학기술기반의 온실가스 감축을 총괄 지원하고 있다.

파리 기후협정이 다음달 4일 발효됨에 따라 이제 온실가스 감축은 현실화 됐다. 우리나라도 혁신적인 기술개발을 통해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 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해야만 한다.

미래부는 차세대 기후기술개발에서 한 발 더 나아가 온실가스 감축에 실질적으로 기여하는 사업화 모델 12개를 도출했으며 2개 모델에 대해 착수 시작했다.

▲ 기존 태양광 빌딩 : 일본 요코하마 다이아 빌딩, 중국 칭화대 태양전지 빌딩

먼저, 안토니 가우디 곡면 구현이 가능한 고성능 태양광 빌딩이다. 기존 태양광 빌딩은 창문 및 외벽의 딱딱한 유리기판의 단색(單色)태양전지를 부착해 발전을 했다. 신규 과제는 곡면(曲面) 구현이 가능한 고성능 태양광 발전 기술개발로 심미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달성한다.

특히, 전 세계적으로 곡면 태양전지를 활용한 태양광 빌딩은 현재 개발 단계로 상용화에 성공 할 경우 태양전지 분야의 세계 시장을 선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다음으로, 기존 난방만 가능한 빌딩 발전에서 냉·난방이 가능한 삼중열병합 연료전지 빌딩 모델이다.

기존 연료전지 빌딩은 난방만 가능했다면 이번 신규과제는 냉·난방이 가능한 삼중열병합 연료전지 발전 기술개발로 급증하는 여름철 건물용 냉방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에너지 자립 빌딩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부피를 기존 삼중열병합 연료전지의 약 40% 감축시켜 도심형 빌딩 내 다양한 활용·확대 가능성이 예상된다.

미래부 관계자는 “이러한 기후산업육성모델 추진을 통해 2030년 연 1000만톤 정도의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며 “앞으로 미래부는 온실가스 감축 및 신산업 창출효과가 큰 기후산업육성모델을 적극 발굴하고 핵심 원천기술 확보를 통해 민간으로의 조기 확산을 촉진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