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칼럼] 북한 광물자원 개발 대비 환경피해 복구 기술 배양을
[전문가 칼럼] 북한 광물자원 개발 대비 환경피해 복구 기술 배양을
  • 방경진 굿네이버스 전문위원
  • 승인 2017.09.04 13:1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방경진 전문위원(굿네이버스 에너지분야)

[한국에너지신문] 광물자원 개발은 대자연 속에 아주 미세하게 부존된 유용 광물을 지하나 지표에서 얻기 때문에 환경파괴가 일어날 수밖에 없다. 

노천채광의 경우 대규모 산림훼손이 발생하고 지하채광의 경우 갱내 오염수가 발생해 인근 하천 및 토양에 오염이 발생한다. 광물 채취는 폐암석(광미)이 다량 발생하므로 수백만 톤의 광미 적재가 불가피하다. 그뿐만 아니라 광산 인근에 원인을 알 수 없는 땅꺼짐 현상(지반침하)이 발생한다. 광물자원 개발은 지하굴(갱도)을 만들어야 하는데 이런 갱도는 밖의 공기가 유입되고 지하수와 지표수가 유입되어 갱내수가 발생될 수밖에 없다. 

광산물(황철석, FeS2)은 매장되어 있으면 안전한 광물로 존재한다. 그러나 공기와 지하수를 만나는 순간 강한 산성수를 만들고 중금속을 녹여 유해물을 함유한 산성광산배수(AMD Acid  Mine Drainage)가 되어 인근 하천과 토양을 오염시킨다. 공기와 접하고 있는 폐석 광미도 비와 만나면 오염수(침출수)가 발생한다. 

광물자원 개발 시 대형 지하 공동이 생기게 마련인데 오랫동안 방치하면 지하수 침투 및 암석의 변질로 지지하는 힘이 약해져 공동이 무너진다. 이에 영향을 받아 연쇄적으로 지표가 하부로 붕괴하는 지반 침하 현상이 발생하기 마련이다. 환경 훼손은 광산 개발 중 또는 폐광산인 경우에도 일어난다. 

남한의 광업 관련 환경보호는 2006년 6월 광산피해의 방지와 복구를 목적으로 광해관리공단(MIRECO)이 설립되면서 큰 전기를 마련하게 되었다. 개발을 통해 발생되는 광산 피해는 광산 자체에서 해결하고, 폐광되어 발생되는 광산 피해 방지는 광해관리공단이 하고 있다. 

국내 일부 금속광산에서는 발생되는 광미를 인근 시멘트 공장으로 운반 원료로 사용하는 등 지혜롭게 처리하고 있다. 오염 수는 자원정화를 통해 하천으로 보내고 있다. 그러나 대형광산을 중점적으로 개발하고 있는 북한은 개발에 따른 환경 훼손 문제가 심각하다. 

북한 광산은 관련 노동자가 많고 인구가 밀집되어 있으며 두만강, 압록강, 대동강, 성천강, 북대천 등에 위치하고 있어 인근 주민의 오염수 사용 및 지반 침하가 우려된다. 

광산을 중심으로 형성된 집성촌은 함북지역 창렬로동자구, 산성로동자구, 함남 상농로동자구, 평북 룡등로동자구, 평남 천성로동자구, 황북 금산포 로동자구, 황남 홀동로동자구 등이 대표적이다.

광물자원공사가 ‘한반도 통일 경제 심포지엄(2016.10.21)’에서 발표한 북한 광산 근로자 수는 728개 광산(42광종)에 109만 3700명이다. 이 중 실제 근로자는 약 70% 정도인 약 70만 명 이상이 될 것이다. 이는 2016년 기준 남한의 광산 근로자 수 7221명(2016 광업·광산물통계연보,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100배에 가깝다. 

광산물 취득을 우선시하는 북한은 1차 개발 뒤 남은 잔여 광물을 4~5차에 걸쳐 재채광하고  개발 방법의 문제 때문에 대형공동이 생기고 있다. 생성된 공동은 유지·보수·투자가 뒤따르지 못할 경우 붕괴 원인이 된다. 또한, 지표 부근까지 개발할 경우 침하 현상이 일어나기 쉽다.    

더구나 북한 근로자들은 광미 폐석장 위에 임시로 구축한 숙소에서 생활하고 있어 사면 붕괴가 자주 일어나 주택이 유실될 위험도 있다. 북한의 주력 수출품은 광산물이기 때문에 광물자원의 중요도가 점점 커지고 있고, 광물자원 개발은 향후 남북한 공동경제 번영에 밑거름이 될 것이기에 소홀히 할 수 없는 부분이다. 

남한은 북한 광물자원 개발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환경피해에 대비해 관련 기술 개발 및 피해 복구 경험을 풍부히 가지고 북한 광물자원 공동 개발 기회를 기다리고 있다. 

향후 북한 광물자원 개발은 생산도 중요하지만 이러한 자연환경 훼손을 철저히 예방해 한반도를 ‘클린 코리아’로 만들어야 할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