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수소 인프라 및 충전소 구축 방안’ 발표
[한국에너지신문] 정부가 늘어나는 수소차에 필요한 수소 공급 대책을 마련했다. 수도권은 인천에서 생산되는 부생수소를 활용해 ‘유통허브’와 ‘파이프라인’을 구축해 공급하고 중부권, 영남권은 지역내 LNG 인수기지의 해외수소 도입, 호남권은 재생에너지를 활용하는 수전해 방식을 확대한다.
지난 22일 산자부, 국토부, 환경부 등 관계부처는 지난 1월과 10월 15일 발표한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과 ‘미래자동차 산업 발전 전략’의 후속조치로 ‘수소 인프라 및 충전소 구축 방안’을 발표했다.
정부는 수소경제의 혈액 역할을 할 수소의 공급 안정화에 나선다(표 참조). 수소생산 방식 다양화, 저장·운송 인프라 확충을 통해 증가되는 수소 수요에 적절히 대응한다는 계획이다.
정부의 계획대로 오는 2022년까지 수소차 6만7000여 대가 보급되면 연간 약 3만 톤의 수소 수요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지역별로 특화된 방식의 수소생산 및 저장·운송 방식을 통해 적절히 대응한다는 것이다.
또 법률로 ‘수소유통센터’를 설치해 적정 수준의 수소 가격의 유지·관리에도 나선다. 장기적으로는 대용량 튜브트레일러 제작, 파이프라인 건설, 액화 운송 확대 등으로 기존의 정부 중심의 공급에서 시장 중심 공급으로 전환, 적절한 수소가격 체계를 구축한다.
이를 기반으로 생산지에서 충전소까지의 유통가격을 2022년 kg당 6000원에서 2040년까지 3000원까지 내릴 계획이다.
인구 및 자동차 수, 지자체 면적, 교통량 등을 고려해 균형 있게 수소충전소도 만든다. 10월 현재 31기인 충전소는 2022년까지 일반충전소 및 버스 전용충전소를 주요 도시에 250기, 고속도로·환승센터 등 교통거점에 60기에 총 310기를 구축하고 올해 말까지 이 중 86기를 구축할 계획이다.
이 계획으로 수소차 운전자가 최대 30분 이내에 수소충전소에 도달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교통거점 충전소를 통해 다른 교통수단과의 연계도 강화한다.
사업자의 경제성을 높이기 위해 융복합·패키지형 수소충전소를 확대하고 핵심 부품의 국산화를 적극 추진해 장기적인 구축비용 절감에도 나선다.
또 이용자가 편리하게 충전소를 이용할 수 있도록 10월 중 양방향 ‘정보 제공 플랫폼’도 구축하고, 충전 속도를 향상한 충전소 모델을 개발해 수소 충전 대기 시간도 줄인다. 이 외에도 관계부처와 산학연 전문가로 구성된 ‘수소충전소 정책협의회’를 설치해 충전소 애로사항을 해결한다.
최근 수소설비 관련 국내·외 사고로 관심이 높아진 충전소의 안전성 문제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법·기준을 선진국 수준 이상으로 강화하고 수소 안전관리 전담기관을 가스안전공사 내 설치한다.
정부 관계자는 “이번 방안을 바탕으로 수소인프라 및 충전소 구축을 차질 없이 추진하고 수소충전소의 경제성·편의성·안전성 제고를 위한 향후 후속조치도 속도감 있게 이행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